티스토리 뷰
요즘 이런 생각 해본 적 있으신가요?
“공부 이렇게 열심히 해도 AI가 다 해주는 거 아니야?”
지금 이 순간에도 AI는 우리가 평생 배워온 걸 단 몇 초 만에 학습하고 있습니다. 논문도 쓰고, 그림도 그리고, 계약서도 작성하고, 심지어 환자 진단도 하죠.
그렇다면 중요한 질문 하나.
AI가 공부 다 해주는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요?
AI 시대, 공부의 방향이 바뀐다
과거에는 수능 점수, 토익 900점, 자격증이 경쟁력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AI가 이 모든 걸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해냅니다.
- 번역가 → 챗GPT는 100개 언어 실시간 번역
- 데이터 분석가 → AI는 수십만 건의 데이터를 1초 만에 분석
- 튜터 → AI는 개인 맞춤 학습을 지원하는 가상 교사 역할 수행
무서운 이야기 같지만, 오히려 기회일 수 있습니다. AI가 아직 하지 못하는 영역이 있고, 그곳이 바로 우리의 공부 방향입니다.
AI가 아직 못하는 것들
1. 창의력
AI는 기존 데이터를 바탕으로 답을 내지만,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드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실천 팁: 매일 10분, 엉뚱한 질문 하나 던지고 상상해보기
- 달에 커피숍을 연다면 어떤 인테리어가 어울릴까?
- 휴대폰 없이 1년을 살아야 한다면 어떻게 소통할까?
- 동물에게 투표권이 있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2. 감정적 공감
AI는 감정을 흉내낼 순 있지만, 실제로 느끼고 공감하진 못합니다.
실천 팁: 하루 5분, 가까운 사람과 진심 어린 대화 나누기
- 오늘 하루 중에 가장 기분 좋았던 순간은 뭐였어?
- 요즘 스트레스 받는 일 있어?
- 최근에 새롭게 느낀 감정이 있다면?
3. 문제 해결력
AI는 정답을 줄 수는 있지만, 복잡한 현실 속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건 인간만의 역량입니다.
실천 팁: 매주 하나의 현실 문제를 골라 해결 아이디어 고민해보기
- 우리 동네 쓰레기 문제를 줄이려면 어떤 시스템이 필요할까?
- 친구와의 갈등을 슬기롭게 해결하려면?
- 노인 고독사를 막기 위한 지역 활동에는 어떤 게 있을까?
학교는 여전히 필요한가?
지금의 교육 시스템은 산업혁명 시대에 만들어진 구조입니다. 지식 전달 중심, 정답 중심의 교육은 AI 시대에 뒤처질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학교는 여전히 의미 있는 공간일 수 있습니다. 사회성, 협업, 공동체 생활 등은 중요한 가치이니까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런 기능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 점검해볼 필요는 있습니다.
변화에 적응한 사람들의 사례
- 직장인 A씨: 데이터 분석 업무 중 AI에 밀려 퇴사,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 NFT 작가로 활동
- 고3 B군: 수능 대신 윤리·심리학 공부, NGO 인턴 활동으로 진로 변경
- 학부모 C씨: 자녀와 함께 창의력 워크숍 참여, 입시 대신 삶의 기술을 함께 배우는 중
이들의 공통점은 AI가 하지 못하는 영역에서 자신만의 길을 찾았다는 점입니다.
마무리하며
AI 시대에 공부는 끝난 게 아닙니다. 단지 방향이 바뀐 것입니다.
우리가 키워야 할 세 가지 역량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창의력 – 매일 엉뚱한 질문 하나 던지고 상상해보기
- 감정 공감 – 하루 5분, 가까운 사람과 진심 어린 대화 나누기
- 문제 해결력 – 매주 하나의 현실 문제를 정하고 해결 아이디어 고민해보기
이 세 가지를 실천한다면, AI가 아무리 똑똑해져도 우리의 자리는 지켜질 수 있습니다.
작은 시작이 생각보다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교육과 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는 만능이 아니다, 그래서 기회다(자녀와 함께 하는 AI 시대 공부법) (0) | 2025.04.06 |
---|---|
쓰레기 무단투기, 욕하기 전에 우리가 해볼 수 있는 ‘문제 해결 훈련’ (0) | 2025.04.05 |
고교학점제, 정말 괜찮을까? 2009년생들에게 닥친 제도의 논란 (0) | 2025.04.04 |
AI 인공지능 시대, 우리의 교육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0) | 2025.04.02 |
아이들의 미래, 교육이 먼저 준비해야 한다(AI(인공지능) 시대와 4차 산업혁명)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