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즐거운 세상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즐거운 세상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77)
    • 교육과 미래 (67)
    • 영화 리뷰 (106)
  • 방명록

전체 글 (177)
뇌과학으로 보는 5초의 법칙 (장동선 박사의 <월간 뇌과학> 중)

왜 이렇게 의지가 약하지? 왜 자꾸 미루고만 있을까? 이런 질문을 해본 적 있다면, 뇌과학이 해답이 되어줄 수 있어요. 1. 뇌는 왜 생겨났을까?신경과학자 로드돌프 리나스는 이렇게 말했어요."뇌는 움직이기 위해 존재한다."예로 든 건 '멍게'였어요. 멍게는 어릴 땐 뇌를 가지고 유영하지만, 바위에 정착한 뒤에는 뇌를 스스로 분해해 먹어버린다고 해요. 움직이지 않게 되면, 뇌도 필요 없어진다는 뜻이죠.이처럼 뇌는 '움직임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전해왔고, 그 시뮬레이션이 곧 '생각'의 기원이 되었어요장동선 박사의 유튜브 에서 재미난 에피소드를 보게 되어 정리해 봅니다. 2. 의지력을 담당하는 뇌 영역, AMCC우리가 '할까 말까' 고민할 때, 뇌는 이미 에너지 계산을 하고 있어요.이때 중심이 되는 부위가 ..

교육과 미래 2025. 5. 25. 13:00
일기, 왜 써야 할까? 일기는 나와 친해지는 최고의 방법

혹시 요즘 일기를 쓰고 계신가요?아니면 어릴 적 한 번쯤 써보다가 멈춰버린 기억이 있으신가요?누군가는 이렇게 말해요.“매일 똑같은 하루인데, 뭘 써요.”“일기? 숙제 아니에요?”“쓸 말이 없어서 포기했어요.”하지만요, 일기는 보여주기 위한 글이 아니라, 나를 위한 말 걸기예요.누군가에게 털어놓기 어려운 마음을, 나 스스로에게 꺼내주는 따뜻한 습관이 될 수 있어요.일기는 ‘나랑 친해지는’ 방법이에요친구와 사이가 좋아지려면 자주 만나고, 서로 이야기 나누잖아요.그런 것처럼, 나 자신과도 자주 이야기 나눠야 친해질 수 있어요.일기는 그 대화를 시작하는 좋은 방법이에요.“오늘은 왜 이렇게 힘들었지?”“이 말 듣고 왜 기분이 나빴을까?”“아, 이런 걸 좋아하는구나 내가.”이런 생각들이 글로 정리되면, 내가 어떤 ..

교육과 미래 2025. 5. 24. 20:28
화내지 않고 말하는 부모, 호흡과 말훈련이 필요해요 (feat 박재연소장)

● 아이와의 대화, 훈련이 필요합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이런 경험을 하셨을 거예요.아이에게 화를 내고 있다가도 담임 선생님의 전화를 받으면,"여보세요~" 하고 다정하게 응대하는 자신의 모습을 보며‘나도 감정 조절 능력이 있구나’ 하고 깨닫게 되죠.이건 단순한 예가 아니에요.우리에겐 감정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이 이미 있습니다.하지만 중요한 건 지속적인 훈련이에요.1. 알고 있지만 실천이 안 되는 이유대화법에 관한 책이나 영상은 넘쳐납니다.그런데 왜 실천은 어려울까요?훈련이 없기 때문이에요.우리는 아이가 울면 “왜 울어? 그만 울어” 하고 말하죠.머리로는 공감과 타당화(그랬겠구나)를 알아도몸은 반응하지 않습니다.2. 감정이 폭발할 때, 뇌와 신경계가 하는 일우리가 뚜껑이 열리는 이유는뇌의 미주신경과 교감신경..

교육과 미래 2025. 5. 23. 12:14
노트필기 왜 해야 할까? 노트필기 잘 하는 법 3단계 +예시문

많은 학생들이 이렇게 말해요.“선생님, 노트필기 진짜 하기 싫어요. 왜 꼭 해야 돼요?”오늘은 그 질문에 제대로 답해보려 해요.노트 정리를 잘하는 것만으로공부의 효율이 달라지고,입시, 공무원, 임용 등 큰 시험에서도두세 달 이상 앞설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왜 노트를 정리해야 할까?교과서를 통째로 머릿속에 넣을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아요.왜냐하면 교과서는 내가 짠 구조가 아니기 때문이에요.그래서 우리는 교과서를 이해하고 암기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노트를 정리하는 거예요.즉,노트는 교과서와 머리 사이의 다리예요.교과서 → 노트 → 내 머리 이 구조가 핵심이에요.“그냥 베껴쓰는 노트”는 공부가 아니에요많은 학생들이 교과서를 예쁘게 베껴요.형광펜으로 칠하고 색연필로 꾸미고…그런데 내용은 머리에..

카테고리 없음 2025. 5. 22. 14:09
초등 문장제 수학, 왜 못 풀까? 문해력 부족 해결법

읽고도 못 푸는 아이를 위한 실전 해결 전략수학이나 과학 문제에서 숫자는 잘 다루는데,막상 문장으로 된 문제만 보면 머리가 하얘진다는 아이들, 많지 않나요?이럴 땐 아이가 ‘수학 개념’을 모르는 게 아니라문장 자체를 해석하는 능력, 즉 문해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아요.오늘은 문장제 문제를 해석하는 힘을 기르기 위한 훈련법을 소개해드릴게요. 문장제 문제, 왜 이렇게 어려울까?문장제 문제는 일상 언어로 구성된 수학 문제예요.예를 들어,“민수는 연필을 3자루 가지고 있었습니다. 친구에게 2자루를 더 받았습니다. 민수는 연필이 모두 몇 자루가 되었나요?”이렇게 보면 단순한 ‘3 + 2’ 문제처럼 보이죠?하지만 문장을 읽고 상황을 이해한 후,수학적인 관계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해요.이 과정에서 아이가 막히면아무..

교육과 미래 2025. 5. 21. 20:09
과거를 자책하고 미래를 두려워 하는 너에게

공부도 해야 하고, 친구 관계도 힘들고,앞으로 어떤 사람이 될지 막막해서 두려운 마음이 자꾸 생기지?아마 이런 생각, 해봤을 거야.“나 진짜 잘 살 수 있을까?”“그때 그렇게 말하지 말 걸…”“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지?”그런데 중요한 사실 하나 알려줄게.지금 너의 걱정 대부분은 ‘지금’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에 대한 거야.과거는 이미 지나갔고누구나 실수해. 그 실수를 자꾸 돌이켜 보면서“왜 그랬지?” “그때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이런 생각을 할수록 마음만 더 무거워져.지나간 일은 다시 바꿀 수 없어.그런데도 우리는 그 순간을 계속 붙잡고 있어.하지만 그때의 너도 지금의 너처럼 최선을 다한 거야.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만큼 했고,그 선택이 지금의 너를 만든 거니까.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고불확실한 ..

교육과 미래 2025. 5. 20. 15:03
이전 1 2 3 4 5 6 ··· 30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