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즐거운 세상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즐거운 세상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77)
    • 교육과 미래 (67)
    • 영화 리뷰 (106)
  • 방명록

전체 글 (177)
도파민 중독에서 벗어나 공부습관 만드는 법

요즘 폰만 켜면 한 시간은 훅 지나가버려요.인스타그램 잠깐 보려다 두 시간, 넷플릭스 드라마 한 편 보려다 밤샘… 누구나 경험해봤을 겁니다.그 원인 중 하나가 바로 ‘도파민’이에요.뇌에서 쾌감을 느낄 때 나오는 신경전달물질인데, 이게 자극적인 정보를 쫓도록 우리를 유혹하죠.그리고 문제는, 이 도파민이 공부나 책 읽기 같은 활동에는 상대적으로 인색하다는 거예요.그러니까 공부를 하려고 마음먹었는데 금세 집중이 안 되고 폰이 당기기 시작하면,그건 당신의 의지가 약한 게 아니라, 도파민 회로가 이미 “더 쉬운 보상”을 향해 조건반사적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입니다.목표보다 중요한 건 ‘시스템’많은 사람들이 “이번엔 꼭 해낼 거야!” 하고 결심합니다.하지만 뇌는 목표를 설정하는 순간 도파민을 분비해서 기분을 좋게 ..

교육과 미래 2025. 4. 20. 12:43
미적분 배우는 초등학생, 누구를 위한 공부인가요?

“부모만 탓할 수 없는 현실, 그럼에도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 선행학습과 자율성, 그리고 지금 필요한 진짜 교육에 대하여 초등학생 대상의 '미적분 반'이 금방 마감이 되었다는 영상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많은 부모들이 말합니다."나도 알아요. 너무 빠르다는 거. 근데… 다들 하잖아요. 이 구조에서 우리 아이만 느긋하게 두는 게, 정말 괜찮은 걸까요?"교육 시스템 속, 선택지가 좁아지는 부모와 아이들지금의 교육 현실은 아이들에게 깊이 생각하고 천천히 성장할 시간을 허락하지 않습니다.중학교 입학과 동시에 진로를 정하라고 하고고등학교 1학년이면 사실상 입시 전략을 끝내야 하며선택 과목 하나만 잘못 골라도 되돌리기 힘든 구조어떤 교육 철학을 가졌든, 이 체제 바깥에서 독립적으로 교육하기란 현실적으로..

교육과 미래 2025. 4. 19. 21:10
욕하는 아이-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력이 부족한 거예요

청소년의 욕, 단순한 사춘기 문제일까요?요즘 청소년들, 말투가 예전 같지 않다고 느끼신 적 있으세요?“갑자기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많은 부모님들이 이렇게 말해요. 평소엔 순한 아이였는데 욕을 달고 살고, 친구들 사이에서도 거친 말을 당연하게 쓰는 모습을 보면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죠.사춘기니까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고 넘어가는 분들도 계시지만, 욕설은 단순한 감정 표현의 수단이 아니에요. 아이의 뇌 발달과 인성, 그리고 사회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거든요. 욕설, 뇌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욕을 자주 사용하는 아이들은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했을 가능성이 커요. 감정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어휘력이 부족해서, 결국 가장 쉽고 빠른 표현 수단으로 욕을 선택하는 거죠.문제는 뇌에도 영향이 ..

교육과 미래 2025. 4. 18. 18:43
영어유치원 안 가도 돼요. 영어 잘 하려면 국어부터요

영어보다 먼저, 아이의 마음이 준비됐는지 살펴주세요“영어유치원 10곳 생기면 소아정신과 1곳이 생긴다.”이 말, 그냥 우스갯소리로 넘길 수 없어요.요즘 아이들, 정말 빠르게 많은 걸 배우고 있지만 그만큼 마음이 지칠 기회도 많아졌어요.조금만 늦어도 뒤처질까 걱정되고, 남들 다 하는데 우리 아이만 안 시키면 안 될 것 같고…그 불안한 마음이 앞서서, 하루 종일 영어로 수업하는 유치원에 아이를 보내게 되죠.그런데 돌아보면 어땠나요?아이 표정이 밝아졌나요? 아니면 더 무표정해졌나요?사춘기인 줄 알았는데, 그냥 너무 지쳤던 거였어요초등 고학년이 되면 부모님들이 이런 말을 자주 해요.“요즘 애가 말을 안 들어요.”“공부를 하긴 하는데 의욕이 없어요.”그럴 때 많은 분들이 “벌써 사춘기가 왔구나” 하고 생각하시는데..

교육과 미래 2025. 4. 17. 12:49
수행평가 좀 폐지해 주세요. 뜻만 좋은 이상한 제도

“아, 정말 힘들다..”아이들은 말 못하고, 어른들은 못 알아듣는다요즘 아이들, 정말 많이 힘들어요. 학교 가는 걸 힘들어하고, 어떤 아이들은 아예 학교를 떠나요. 등교를 거부하거나 자퇴하는 아이들이 매년 늘고 있죠. 이쯤 되면 ‘요즘 애들 왜 이래?’보다는 ‘도대체 무슨 일이 있는 걸까?’라고 물어야 할 때예요.문제는, 이 힘듦을 어른들이 잘 모른다는 것이에요. 아니, 정확히 말하면 공감하지 못한다는 거죠.“우리 땐 더 힘들었어.”“학생이 공부해야지 뭐.”“참으면 다 지나가.”이런 말, 아직도 참 많죠. 근데 아이들은 속으로 이렇게 생각해요.‘진짜 우리 사는 세상 몰라서 그래요.’수행평가, 이름은 예쁜데 실제는 괴롭다요즘 학교는 ‘시험’만으로 평가하지 않아요. 중간·기말고사 외에도 ‘수행평가’라는 게 ..

교육과 미래 2025. 4. 16. 13:13
살만 칸의 '나는 AI 와 공부한다' AI가 나에게 자신감을 심어준다고?

AI 시대, 공부는 왜? 그리고 어떻게 달라질까– 살만 칸의 《나는 AI 와 공부한다》와 조승연 강연을 중심으로 –☞ “AI가 공부까지 대신해주는 시대라면… 우리는 뭘 배워야 할까?”조승연 작가가 던진 이 질문, 요즘 교육을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떠올려봤을 거예요. 그래서 그가 선택한 책은 칸 아카데미 창립자 살만 칸의 『나는 AI 와 공부한다』. 이 책은 AI 시대, 교육은 어떻게 바뀌고 우리는 뭘 준비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해요. 그는 말했어요. AI는 단순한 ‘보조도구’가 아니라, 교육의 판을 바꿀 도구라고요.● 지금 교육, 뭐가 문제였을까?우리가 익숙한 교실, 어떤 모습일까요? 한 명의 선생님이 수십 명의 학생에게 같은 내용을 가르쳐요. 누군가는 이미 다 이해해서 지루하고, 또 어떤 학생은 아..

교육과 미래 2025. 4. 15. 15:19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0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